본문 바로가기
금융

차트분석은 사께다전법? 사께다는 누구?

by 햇빛좋은봄날 2025. 3. 19.
반응형

주식 차트 공부를 하다 보면 기술적 분석방법으로 차트분석 캔들 패턴분석에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이 중에서 오늘은 사께다 전법에 대해 정리합니다.

차트 캔들
차트


1. 역사 🗝️

사께다 전법은 일본 에도 시대(17~18세기 도쿠카와 이에야스 시대, 우리나라로 보자면 임진왜란 후 조선시대죠) 쌀 시장에서 활동했던 쌀 상인 사께다 긴조가 개발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역시 경제 쪽은 일본이 빠르네요. 쌀 상인이 기술적 분석 기법을 개발한 이유는 당시 일본에서 쌀🌾이 화폐처럼 거래되던 주요 상품이었기 때문입니다.

사께다 긴조는 쌀 가격이 반복적인 패턴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고는 과거 가격 변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 가격을 예측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그는 쌀 가격의 움직임을 분석하면서 캔들스틱 차트📈를 활용했고, 이를 바탕으로 "사께다 전법(酒田戦法)"을 개발합니다. 요즘 용어로 보자면 전략이나 기법으로 해석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이 사람이 존재했다는 증거가 부족하여 전설로 간주되고 여러 상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이론에 사람 이름이 붙여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성이 술밭 (酒田 =사께 다 ^^). 즉, 술🥴과 관련된 지역이란 뜻이고 사케🍶가 쌀로 만든 술이니 결국 쌀🌾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겠네요. 특히, 긴조(吟蔵)라는 이름의 뜻은 한자의 의미 상 깊은 뜻을 간직한 사람 또는 시장의 흐름을 읽는 지혜로운 상인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사께다 긴조" 전체 이름의 뜻을 보자면 "지혜를 가진 쌀 상인" 정도가 되니 누가 봐도 만들어진 이름 같죠(😁😁😁).실제로 일본에서는 이러한 "긴조(吟蔵)"라는 이름이 흔하지 않고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 중에서 이런 이름을 가진 사례는 거의 없기 때문에 만들어진 이름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네요.

오히려 혼마 무네히사(本間宗久, 1724~1803)는 실제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로, 쌀 상인 겸 투자자였습니다. 그는 일본 쌀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오늘날 캔들스틱 차트(봉차트)의 창시자로 여겨집니다. 그래서 사께다 전법은 혼마의 이론을 정립한 결과물로 간주되곤 합니다. (혼마 무네히사와 관련된 책도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읽어보세요...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2875870

 

거래의 신, 혼마 - 예스24

일본 에도시대에 쌀 거래로 일본 경제를 흔들었던 거상(巨商) 혼마 무네히사(本間宗久, 1717-1803)의 삶과 상인 정신 그리고 그의 투자법을 다룬 책, 『거래의 신, 혼마』의 개정판. 혼마 무네히사

www.yes24.com

2. 사께다 전법의 개요 🚩

사께다 전법은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캔들 패턴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크게 다섯 가지 기본 원칙(五法, 고호)과 삼법(三法)으로 구성됩니다. 이 기법은 상승과 하락의 전환점을 포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사께다 전법에서는 추세가 지속되는 동안 가격이 일시적으로 조정되는 패턴을 "삼법(三法)"이라고 부릅니다. 삼법은 강한 상승 또는 하락이 지속되기 전에 잠깐 쉬어가는 패턴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사께다 전법의 다섯 가지 패턴 📈📉📊

사께다 전법에서 기본원칙은 시장의 패턴을 다섯 가지 주요 형태로 분류합니다.

① 삼산(三山) - 헤드 앤 숄더 패턴 (산이 세 개인데 가운데 산이 가장 높은 모양)

  • 형태: 고점이 세 개 형성되며, 가운데 고점이 가장 높음.
  • 의미: 상승추세가 마무리되고 하락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음.
  • 현대 용어: 헤드 앤 숄더(Head & Shoulders) 패턴과 유사.

② 삼천(三川) - 삼중 바닥 패턴 (1번 삼산과 반대인 모양)

  • 형태: 저점이 세 개 형성되며, 가운데 저점이 가장 낮음.
  • 의미: 하락추세가 마무리되고 상승 반전 가능성이 높음.
  • 현대 용어: 트리플 바텀(Triple Bottom) 또는 역 헤드 앤 숄더 패턴과 유사.

③ 삼공(三空) - 갭이 연속된 패턴

  • 형태: 가격이 연속적으로 갭을 만들며 상승 또는 하락하는 형태.
  • 의미: 과열된 시장으로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큼.
  • 현대 용어: 갭(Gap) 분석과 유사.

④ 삼병(三兵) - 강한 추세 지속 패턴

  • 형태: 세 개의 연속적인 양봉(강세) 또는 세 개의 연속적인 음봉(약세)이 나타남.
  • 의미: 강한 강세나 약세의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
  • 현대 용어: 쓰리 화이트 솔저스(Three White Soldiers) 또는 쓰리 블랙 크로우즈(Three Black Crows) 패턴과 유사.

⑤ 삼법(三法) - 조정 후 지속 패턴

  • 형태: 강한 추세가 지속되는 중간에 조정(횡보) 구간이 형성됨.
  • 의미: 기존 추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음.
  • 현대 용어: 불 플래그(Bull Flag), 베어 플래그(Bear Flag) 패턴과 유사.

4. 결론 🚀

사께다 전법은 오래전 일본에서 개발된 전통적인 기술적 분석 기법이지만, 오늘날에도 캔들 패턴 분석의 핵심 원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주식, 외환, 암호화폐 등 다양한 시장에서 가격 패턴을 해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재미로 사께다 긴조 이름에 대한 이야기도 알아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