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과 트럼프 당선 이후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상화폐 거래 규모는 얼마나 커지고 있을까요? 최근 몇 년간 가상화폐(암호화폐) 시장은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으며, 이에 따라 거래 규모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주요 가상자산뿐만 아니라 다양한 알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시장의 유동성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와 해외 가상화폐 시장의 거래 규모 추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국내 가상화폐 거래 규모 추이
먼저 국내시장을 알아보면 국내 가상화폐 시장은 글로벌 시장과 마찬가지로 2023년 이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 일평균 거래 규모는 2023년 상반기 2.9조 원에서 하반기 3.6조 원으로 증가하였으며, 2024년 11월 기준으로는 14.9조 원까지 급등하였습니다. 이는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과 맞먹는 수준입니다. (참고로 2025년 2월 코스피 일 평균 거래 대금은 약 12조원이고 코스닥은 코스피 규모의 반 정도에 해당합니다.) 국내 가상화폐 시장 거래 규모 추이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기간 | 일평균 거래대금 (조원) |
2023년 상반기 | 2.9 |
2023년 하반기 | 3.6 |
2024년 11월 | 14.9 |
이 같은 증가세는 여러 요인에 기인하고 있습니다. 첫째, 가상화폐 투자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래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둘째, 국내 거래소들이 다양한 가상자산을 상장하면서 시장의 유동성이 커졌습니다. 마지막으로,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가 늘어나면서 거래 규모가 커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 해외 가상화폐 거래 규모 추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가상화폐 시장에서도 거래 규모가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11월 기준으로 전 세계 가상화폐 시장의 총 거래 규모는 10조 달러(약 1경 4000조 원)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입니다.
기간 | 월간 거래 규모 (조 달러) |
2024년 10월 | 5 |
2024년 11월 | 10 |
해외 거래 규모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있습니다. 첫째,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 비트코인 ETF(상장지수펀드)가 승인되면서 기관 투자자들의 진입이 활발해졌습니다. 둘째, 코로나 이 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으로서 가상화폐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국과 인도 등 신흥 시장에서도 가상자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체 거래 규모가 확대되었습니다. 거래 규모가 커지면서 가상화폐에 대한 가치도 동반 상승하고 있습니다.
3. 전망
국내외 가상화폐 시장의 거래 규모를 비교해 보면, 전 세계적으로 가상화폐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내 시장은 2024년 들어 거래 규모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글로벌 시장 역시 가상화폐의 제도권 편입과 기관 투자 증가로 인해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면, 가상화폐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입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변수들이 향후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 규제 환경 변화: 각국 정부의 가상화폐 규제 정책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정책 변화나 유럽연합(EU)의 규제 강화 여부가 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트럼프 정부도 계속 비트코인 정책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 비트코인 반감기 효과: 2024년 비트코인의 반감기가 도래하면서 공급량 감소로 인해 가격 상승이 있었고 이에 따라 거래량도 증가했습니다.
- 기관 투자자 유입: 대형 금융 기관들이 가상자산 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면서 전체 거래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가상화폐 거래 규모는 국내외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 비트코인 반감기(Halving): 약 4년마다 발생하는 이벤트로, 비트코인을 채굴할 때 지급되는 블록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비트코인의 공급량을 점진적으로 줄여 희소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투자 재테크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저당증권 모기지증권 MBS (4) | 2025.04.05 |
---|---|
최근 5년 경기도 시 단위 인구 변화 (14) | 2025.04.02 |
관세가 오르면 주식? 채권? 비트코인? (13) | 2025.03.07 |
지난 10년간(2015~2025) 금 가격 변동 요인 (5) | 2025.03.05 |
자동차 회사들이 그리는 미래도시는 어떤 모습일까? (3) | 2025.02.17 |